분열형 인격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열형 인격장애는 기이한 생각, 행동, 지각, 그리고 대인 관계의 어려움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이다. 이 장애는 외부 사건에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기이한 믿음이나 마술적 사고, 사회 불안, 그리고 감정 표현의 어려움을 나타낼 수 있다. 분열형 인격장애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뇌의 도파민 수치 이상, 뇌 구조의 변화 등이 관련될 수 있다. 치료에는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그리고 인지 행동 치료와 같은 심리 치료가 사용된다. 이 질환은 조현병 스펙트럼에 속하며, 전체 인구의 약 3%에서 나타나며, 조현병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격장애 - 의존성 인격장애
의존성 인격장애는 정서적, 신체적 욕구 충족을 위해 타인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정신 질환으로, 수동성, 관계 종료 시 파괴적인 행동, 책임 회피, 복종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ICD-10에 진단 기준이 제시되어 있고 정신 요법을 통해 치료한다. - 인격장애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다. - 불안 -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요인은 개인이 환경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때 심리적, 신체적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으로, 지속시간, 강도, 예측 가능성, 통제 가능성에 따라 영향이 달라지며, 인지된 스트레스 척도 등으로 측정 가능하다. - 불안 -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전엽, 부신피질로 구성되어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며, 코르티코트로핀 방출 호르몬, 바소프레신,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코르티솔 등 다양한 호르몬의 분비를 통해 뇌와 신체에 영향을 미친다. - 조현병 - 반향어
반향어는 타인의 말이나 소리를 반복하는 현상으로, 직접 반향어와 지연 반향어로 나뉘며, 발달 장애 아동에게서 흔히 관찰되지만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의사소통 기능 및 언어 학습 촉진의 긍정적 기능도 가진다. - 조현병 - 분열성 인격장애
분열성 인격장애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무관심과 제한된 감정 표현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 장애로, 고독한 활동을 선호하며 타인의 평가에 무관심하고, 유전적, 신경학적, 심리사회적 요인이 원인으로 작용하며, 심리 치료와 약물 치료를 통해 치료하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의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분열형 인격장애 | |
---|---|
일반 정보 | |
진단 | 증상 기반 |
발병 시기 | 10–20세 |
경과 | 만성 |
추정 유병률 | 일반 인구의 3% |
감별 진단 | 다른 A군 성격 장애 경계선 성격 장애 회피성 성격 장애 자폐증 사회 불안 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해리성 정체감 장애 |
동반 질환 | 정신분열증 물질 사용 장애 주요 우울 장애 |
원인 | |
원인 | 유전 아동 학대 아동 방임 |
위험 요인 | 가족력 |
치료 | |
치료 | 인지 행동 치료 메타인지 치료 인지 교정 치료 |
약물 | 항정신병제 항우울제 |
예후 | 일반적으로 좋지 않지만 상당한 개선이 가능함 |
의학 분야 | |
전문 분야 | 정신 의학 임상 심리학 |
관련 용어 | |
관련 질환 | 의미 화용론적 장애 정신 분열형 분열성 성격 장애 분열정동장애 |
진단 코드 | |
메쉬 (MeSH) | D012569 |
온라인 의학 백과사전 | 001525 |
2. 증상
분열형 인격장애는 다음과 같은 증상들을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나타낸다.[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 [213][222] [75][76][77][78][79][80] [81][82][287]
- 외부 사건이 개인적인 의미를 갖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 기이한 생각, 믿음, 지각, 행동을 보인다.
- 이상한 말을 한다.
- 의심이 많고 편집증적인 생각을 한다.
- 무미건조하거나 이상한 감정 표현을 한다.
- 가족 외에 가까운 친구가 없다.
- 과도하고 지속적인 사회 불안증을 느낀다.

관계망상은 분열형 인격장애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이들은 마술적 사고를 하는 경우가 흔하며, 초자연적인 현상이나 존재를 믿는 경향이 강하다. 스스로를 표현하는 것을 위험하다고 느끼며, 타인이 자신보다 더 유능하다고 느끼고 깊은 불안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감정에 대한 방어 기제로 이상한 사고 패턴을 보이기도 한다. 자기 인식 수준이 제한적이며, 타인이 자신을 실제보다 더 부정적으로 본다고 믿을 수 있다.
분열형 인격장애 환자는 자신이나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타인의 감정에 대한 반응이 제한적이거나 양가적인 감정을 보일 수 있으며, 무쾌감증으로 인해 활동에서 즐거움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사회적 상황에 관심이 없는 경향이 있지만, 인터넷에서는 사회적으로 활동적일 수 있다. 이인증, 비현실감, 지루함 및 내적 환상은 분열형 인격장애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비정상적인 표정을 짓거나, 비정상적인 안구 운동을 보이거나, 자극에 반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약물 남용이나 자살 생각에 더 취약하며, 자살 시도를 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인지 결손과 같은 경향을 보이며, 환각과 같은 비정상적인 지각 및 감각 경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을 다른 사람들이 인식하는 것보다 더 밝거나 어둡게 인식할 수 있다. 얼굴 인식 또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다른 사람들을 기형으로 보거나, 잘못 인식하거나,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음성 또는 언어와 같은 정보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더 느리고 음높이의 변동이 적게, 말 사이에 긴 휴지를 두고 말할 가능성이 크다. 냄새 감지 역치가 낮고, 청각 시스템 또는 후각 처리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상황 효과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사건들 간에 느슨한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다중 감각 통합 또는 대비(시각) 민감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감각 입력에 대한 과민 반응 또는 손상된 반응, 느린 반응 시간, 손상된 주의력, 나쁜 자세 (심리학) 제어, 의사 결정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기억력에 어려움을 겪고, 사건에 대한 잦은 침투적 기억을 가질 수 있으며, 기시감을 느끼거나 미래의 사건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느낄 수 있다.
분열형 인격장애는 정신 장애의 일종으로, 현실보다는 비현실적인 화제를 선호하고 기이한 사고와 행동이 생활을 지배한다. 주변 사람들에게는 괴이하게 보일 수 있으며, 친밀한 관계를 어려워하고 대인 관계를 힘들어한다. 다른 성격 장애보다 유전적 요소가 강하며, 조현병과 유사한 유전자 요인을 가지면서도 어떤 요인으로 인해 발병하지 않은 상태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 전체 인구 중 약 3%의 비율을 차지한다.
3. 진단
분열형 인격장애는 일반적으로 정신건강 전문가가 환자의 증상, 병력, 생활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진단한다. 확진을 위한 특정 검사는 없으며, 기분 장애, 불안장애, 정신병적 사고 유무 등을 통해 다른 정신질환과 감별한다.
DSM-IV-TR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227]
- 관계망상적 사고 - 분명한 관계망상은 제외한다.
-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하위문화의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기이한 믿음이나 마술적 사고(예 : 미신, 천리안에 대한 믿음, 텔레파시나 육감, 아동이나 청소년에게서 보이는 기이한 환상이나 집착)
- 신체적 착각을 포함한 유별난 지각 경험
- 기이한 사고와 언어 (예 : 모호하고 우회적이고 은유적이고 지나치게 자세하게 묘사하거나 혹은 상동증적인 사고와 언어)
- 의심이나 편집증적인 사고
- 부적절하거나 메마른 정동
- 기이하고 엉뚱하거나 특이한 행동이나 외모
- 직계 가족 외에는 가까운 친구나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이 없다.
-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보다는 편집증적인 두려움과 연관되어 있는, 친밀해져도 줄어들지 않는 과도한 사회적 불안.
위에 나열된 기준 중 5가지 이상을 충족하여야 하며, 조현증, 정신증 양상이 있는 기분 장애 또는 기타 정신증 장애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인지와 지각적인 왜곡은 그 사람의 문화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하며, 특히 종교적인 의식에 대해서는 외부에서 보기에는 기이하게 보이기 때문이다.[227] 정신분열증과 같이, 환각이나 망상은 없고 명백한 정신병성은 없다.[288] 감정적으로는 다소 둔화되어 있다.[288]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며, 다른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고 편안해지기보다는, 더욱 의심이 많아지고 긴장해진다.[227] 회피성 성격 장애와는 달리, 대인 교류가 없는 것은 대인 관계를 맺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227]
소아에서는 아스퍼거 장애나, 경도의 자폐성 장애와 같은 고립과 기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구별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자폐성 장애나 아스퍼거 장애에서는 교류가 더욱 결여되어 있으며, 또한 행동과 관심에 상동증이 있다.[227]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0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227]
- 관계적 사고 (관계 망상은 아님)
- 기이한 믿음영어 또는 마술적 사고 (예: 초자연적 현상)
- 특이한 지각 경험 (목소리 들림, 해리 경험, 착각 등)
- 기이한 사고와 언어 (예: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건너뜀)
- 괴상한 행동 및/또는 외모
- 편집증적 사고
- 서로 일치하지 않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기분과 표정
- 친밀한 지지자가 거의 없음 또는 없음
- 익숙한 사람과 있어도 지속되는 과도한 사회 불안
이러한 증상은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어야 한다.
ICD-10 정신 및 행동 장애에서는 F21 분열형 성격 장애를 잠재성 또는 전구적 정신 분열증 또는 분열형 성격 장애로 규정하고 일반적인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289] 이는 단순형 정신 분열증, 분열성 성격 장애, 편집성 성격 장애 및 기타 장애와 명확히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289]
ICD는 정신 분열증과 유사한 기이한 행동, 사고, 감정의 이상이 있지만, 명백히 정신 분열증은 아니지만 정신 분열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289] 발병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며, 진행과 경과는 성격 장애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따른다.[289] 사용하더라도 2년 이상 지속되어야 하며, 정신 분열증이 아니어야 한다.[289]
분열형 인격장애는 다음과 같은 질환들과 감별해야 한다.[91][92][87][227]
진단 | 세부 정보 |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다른 정신 질환 | 망상 장애, 조현병, 또는 정신병적 특징이 있는 기분 장애와 달리, 분열형 인격 장애(StPD)는 지속적인 정신병적 증상을 특징으로 하지 않는다. StPD 증상은 정신병적 증상이 없을 때에도 지속되어야 한다. |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인격 변화 | StPD와 유사한 증상은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의학적 상태나 물질 사용 장애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
다른 인격 장애 | 다른 인격 장애는 StPD와 유사한 증상을 가질 수 있다. 분열형 인격 장애, 편집성 인격 장애, 분열성 인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또한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둔한 감정을 보일 수 있지만, StPD의 인지 왜곡이나 지각 왜곡은 없다. StPD가 있는 개인과 회피성 인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제한적인 친밀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AvPD가 있는 사람들은 StPD의 기이한 행동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경계성 인격 장애에서도 정신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BPD가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고립을 두려워하는 반면, StPD가 있는 사람들은 이에 편안함을 느낀다. StPD가 있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BPD가 있는 사람들보다 덜 충동적이다. 자기애성 인격 장애가 있는 개인도 사회적으로 소외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결점이 드러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
다음 장애와의 감별 진단도 고려해야 한다.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다른 장애: (예: 조현병, 양극성 장애 또는 정신병적 특징이 있는 우울 장애)
- 편집성, 분열성 또는 회피성 인격 장애
- 해리성 정체성 장애
- 의사소통 장애
3. 1. DSM-IV-TR 진단 기준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DSM-IV-TR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227]- 관계적 사고 (관계 망상은 아님)
- 기이한 믿음 또는 마술적 사고 (예: 초자연적 현상 또는 가해자와의 특별한 관계 또는 유대감)
- 특이한 지각 경험 (목소리 들림, 해리 경험, 착각 등)
- 기이한 사고와 언어 (예: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건너뜀)
- 괴상한 행동 및/또는 외모
- 편집증적 사고
- 서로 일치하지 않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기분과 표정
- 친밀한 지지자가 거의 없음 또는 없음
- 익숙한 사람과 있어도 지속되는 과도한 사회 불안
이러한 증상은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어야 하며, 위에 나열된 기준 중 5가지 이상을 충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정신분열증 혹은 정신병적 장애, 또는 발달 장애의 경과 중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227] 인지와 지각적인 왜곡은 그 사람의 문화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하며, 특히 종교적인 의식에 대해서는 외부에서 보기에는 기이하게 보이기 때문이다.[227] 정신분열증과 같이, 환각이나 망상은 없고 명백한 정신병성은 없다.[288] 감정적으로는 다소 둔화되어 있다.[288]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며, 다른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고 편안해지기보다는, 더욱 의심이 많아지고 긴장해진다.[227] 회피성 성격 장애와는 달리, 대인 교류가 없는 것은 대인 관계를 맺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227]
소아에서는 아스퍼거 장애나, 경도의 자폐성 장애와 같은 고립과 기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구별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자폐성 장애나 아스퍼거 장애에서는 교류가 더욱 결여되어 있으며, 또한 행동과 관심에 상동증이 있다.[227]
3. 2. ICD-10 진단 기준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0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227]- 관계적 사고 (관계 망상은 아님)
- 기이한 믿음영어 또는 마술적 사고 (예: 초자연적 현상)
- 특이한 지각 경험 (목소리 들림, 해리 경험, 착각 등)
- 기이한 사고와 언어 (예: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건너뜀)
- 괴상한 행동 및/또는 외모
- 편집증적 사고
- 서로 일치하지 않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기분과 표정
- 친밀한 지지자가 거의 없음 또는 없음
- 익숙한 사람과 있어도 지속되는 과도한 사회 불안
이러한 증상은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어야 한다.
ICD-10 정신 및 행동 장애에서는 F21 분열형 성격 장애를 잠재성 또는 전구적 정신 분열증 또는 분열형 성격 장애로 규정하고 일반적인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289] 이는 단순형 정신 분열증, 분열성 성격 장애, 편집성 성격 장애 및 기타 장애와 명확히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289]
ICD는 정신 분열증과 유사한 기이한 행동, 사고, 감정의 이상이 있지만, 명백히 정신 분열증은 아니지만 정신 분열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289] 발병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며, 진행과 경과는 성격 장애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따른다.[289] 사용하더라도 2년 이상 지속되어야 하며, 정신 분열증이 아니어야 한다.[289]
3. 3. 감별 진단
분열형 인격장애는 다음과 같은 질환들과 감별해야 한다.[91][92][87][227]진단 | 세부 정보 |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다른 정신 질환 | 망상 장애, 조현병, 또는 정신병적 특징이 있는 기분 장애와 달리, 분열형 인격 장애(StPD)는 지속적인 정신병적 증상을 특징으로 하지 않는다. StPD 증상은 정신병적 증상이 없을 때에도 지속되어야 한다. |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인격 변화 | StPD와 유사한 증상은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의학적 상태나 물질 사용 장애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
다른 인격 장애 | 다른 인격 장애는 StPD와 유사한 증상을 가질 수 있다. 분열형 인격 장애, 편집성 인격 장애, 분열성 인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또한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둔한 감정을 보일 수 있지만, StPD의 인지 왜곡이나 지각 왜곡은 없다. StPD가 있는 개인과 회피성 인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제한적인 친밀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AvPD가 있는 사람들은 StPD의 기이한 행동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경계성 인격 장애에서도 정신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BPD가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고립을 두려워하는 반면, StPD가 있는 사람들은 이에 편안함을 느낀다. StPD가 있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BPD가 있는 사람들보다 덜 충동적이다. 자기애성 인격 장애가 있는 개인도 사회적으로 소외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결점이 드러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
다음 장애와의 감별 진단도 고려해야 한다.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다른 장애: (예: 조현병, 양극성 장애 또는 정신병적 특징이 있는 우울 장애)
- 편집성, 분열성 또는 회피성 인격 장애
- 해리성 정체성 장애
- 의사소통 장애
4. 원인
분열형 인격장애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유전적 요인 ==
분열형 인격장애는 환경적 요인 외에도 유전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5][106][107] 분열형 인격장애는 기분 장애,[108] 조현병 등과 유전적 연관성이 높다.[109][107][110]
COMT Val158Met 다형성과 그 Val 또는 Met 대립 유전자는 분열성 성격 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11][112][113][114] 이 유전자들은 뇌 내 도파민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데,[115][116][117] 이는 분열형 특성과 관련된 신경 화학 물질로 여겨진다.[118][119] CACNA1C 유전자의 rs1006737 다형성 또한 분열형 증상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126] 이는 뇌의 코르티솔 각성 반응을 통해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증가시킨다.[127][128][129][130] 아연 핑거 단백질 ZNF804A는 분열형 인격장애의 편집증, 불안 및 관계 망상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다.[134][135][136] NOTCH4는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139][140] 후두 피질의 교란을 일으켜 분열형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141] GLRA1과 p250GAP 유전자 또한 분열형 인격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42][143][144]
분열형 인격장애는 22번 염색체의 이상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49][150][151] 다른 성격 장애보다 유전적 요소가 강하며, 조현병과 유사한 유전자 요인을 가지면서도 어떤 요인으로 인해 발병하지 않은 상태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287]
== 신경학적 요인 ==
임신 23주차의 인플루엔자 노출이나 소아기의 불량한 영양 상태는 뇌 발달 과정을 변화시켜 분열형 인격장애(StPD)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152] 뇌 내의 높은 도파민 수치,[153][154] 특히 D1 수용체가 StPD의 발달에 관여할 수 있으며,[155][156][157] 선조체에서 증가된 도파민 활성과 관련이 있다.[158][159][160][161] 또한 높은 전 시냅스 도파민 방출이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162][163][164][165] StPD 환자는 꼬리핵에서 회백질 또는 백질의 부피가 감소할 수 있으며,[166][167] 이는 언어 능력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168][169][170][171] 측두엽, 특히 좌반구의 부피 감소는 부정적 증상과 관련될 수 있다.[175] 상측두이랑 또는 가로측두이랑의 회백질 또는 백질 부피 감소는 언어,[98][176][177][178] 기억력, 환각 문제와 관련이 있다.[179][180] 측두엽과 전전두피질의 회백질 부피 결함은 인지 능력, 감각 처리, 언어, 집행 기능, 의사 결정, 정서 처리의 손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81][182] 정보를 대뇌 피질로 전달하는 내포 감소,[183][184][185][186] 변연계의 일부를 연결하는 갈고리다발의 손상도 StPD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187] 중간 전두이랑과 브로드만 영역 10에서 회백질 수치가 감소하지만, 조현병 환자만큼 감소하지는 않아 조현병 발병을 막을 수도 있다.[188][189] 소뇌에 의한 이랑의 증가된 굴곡은 뇌의 연결성 이상, 따라서 분열형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190][191] 과소 반응성[192] 또는 과잉 반응성 편도체,[193] 과다 활성 뇌하수체와 미상핵을 가질 수 있다.[194][195] 사전 펄스 억제 능력 저하,[196][197][198][199] 호모바닐산 농도 증가,[200] 투명 중격강의 이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201]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발병 경향이 있는 사람은 대마초를 섭취하면 StPD 또는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다른 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202][203][204][205]
== 환경적 요인 ==
독특한 환경적 요인들은 형제간 공유되지 않는 경험과는 다르며, 분열형 인격장애(StPD)와 그 증상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육 방식, 이른 시기의 분리, 아동기 외상, 아동기 방임이 분열형 성격 특성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206][207][208] 아동기의 방임, 학대, 스트레스,[209] 외상,[210][211][212] 또는 가족 기능 장애는 분열형 성격장애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213][214][215] 또한 산전 기간 동안의 뇌 발달 장애가 StPD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도 있다.[216]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이들은 사회적 신호를 해석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법을 배우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이 과정이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217] 아동기 동안, StPD를 가진 사람들은 부모로부터 감정 표현을 거의 보지 못했을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그들이 과도하게 비판을 받았거나 끊임없이 위협을 느끼는 듯한 느낌을 받았을 수 있으며,[218] 잠재적으로 사회적 불안, 이상한 사고 패턴,[219] 그리고 StPD에 나타나는 둔마된 정동의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220][219][221] 사회적 상황에서의 어려움은 결국 개인이 대부분의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물러나게 하여 비사회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222] 분열형 증상을 보이는 아이들은 보통 내적 환상에 더 탐닉하고,[223] 더 불안하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며, 비판에 더 민감하다.[224] StPD가 가장 심한 사람들은 보통 아동기 외상과 그들의 상태에 대한 유전적 근거를 함께 가지고 있다.[225][226]
4. 1. 유전적 요인
분열형 인격장애는 환경적 요인 외에도 유전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5][106][107] 분열형 인격장애는 기분 장애,[108] 조현병 등과 유전적 연관성이 높다.[109][107][110]COMT Val158Met 다형성과 그 Val 또는 Met 대립 유전자는 분열성 성격 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11][112][113][114] 이 유전자들은 뇌 내 도파민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데,[115][116][117] 이는 분열형 특성과 관련된 신경 화학 물질로 여겨진다.[118][119] CACNA1C 유전자의 rs1006737 다형성 또한 분열형 증상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126] 이는 뇌의 코르티솔 각성 반응을 통해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증가시킨다.[127][128][129][130] 아연 핑거 단백질 ZNF804A는 분열형 인격장애의 편집증, 불안 및 관계 망상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다.[134][135][136] NOTCH4는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139][140] 후두 피질의 교란을 일으켜 분열형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141] GLRA1과 p250GAP 유전자 또한 분열형 인격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42][143][144]
분열형 인격장애는 22번 염색체의 이상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49][150][151] 다른 성격 장애보다 유전적 요소가 강하며, 조현병과 유사한 유전자 요인을 가지면서도 어떤 요인으로 인해 발병하지 않은 상태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287]
4. 2. 신경학적 요인
임신 23주차의 인플루엔자 노출이나 소아기의 불량한 영양 상태는 뇌 발달 과정을 변화시켜 분열형 인격장애(StPD)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152] 뇌 내의 높은 도파민 수치,[153][154] 특히 D1 수용체가 StPD의 발달에 관여할 수 있으며,[155][156][157] 선조체에서 증가된 도파민 활성과 관련이 있다.[158][159][160][161] 또한 높은 전 시냅스 도파민 방출이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162][163][164][165] StPD 환자는 꼬리핵에서 회백질 또는 백질의 부피가 감소할 수 있으며,[166][167] 이는 언어 능력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168][169][170][171] 측두엽, 특히 좌반구의 부피 감소는 부정적 증상과 관련될 수 있다.[175] 상측두이랑 또는 가로측두이랑의 회백질 또는 백질 부피 감소는 언어,[98][176][177][178] 기억력, 환각 문제와 관련이 있다.[179][180] 측두엽과 전전두피질의 회백질 부피 결함은 인지 능력, 감각 처리, 언어, 집행 기능, 의사 결정, 정서 처리의 손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81][182] 정보를 대뇌 피질로 전달하는 내포 감소,[183][184][185][186] 변연계의 일부를 연결하는 갈고리다발의 손상도 StPD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187] 중간 전두이랑과 브로드만 영역 10에서 회백질 수치가 감소하지만, 조현병 환자만큼 감소하지는 않아 조현병 발병을 막을 수도 있다.[188][189] 소뇌에 의한 이랑의 증가된 굴곡은 뇌의 연결성 이상, 따라서 분열형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190][191] 과소 반응성[192] 또는 과잉 반응성 편도체,[193] 과다 활성 뇌하수체와 미상핵을 가질 수 있다.[194][195] 사전 펄스 억제 능력 저하,[196][197][198][199] 호모바닐산 농도 증가,[200] 투명 중격강의 이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201]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발병 경향이 있는 사람은 대마초를 섭취하면 StPD 또는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다른 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202][203][204][205]4. 3. 환경적 요인
독특한 환경적 요인들은 형제간 공유되지 않는 경험과는 다르며, 분열형 인격장애(StPD)와 그 증상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육 방식, 이른 시기의 분리, 아동기 외상, 아동기 방임이 분열형 성격 특성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206][207][208] 아동기의 방임, 학대, 스트레스,[209] 외상,[210][211][212] 또는 가족 기능 장애는 분열형 성격장애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213][214][215] 또한 산전 기간 동안의 뇌 발달 장애가 StPD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도 있다.[216]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이들은 사회적 신호를 해석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법을 배우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이 과정이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217] 아동기 동안, StPD를 가진 사람들은 부모로부터 감정 표현을 거의 보지 못했을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그들이 과도하게 비판을 받았거나 끊임없이 위협을 느끼는 듯한 느낌을 받았을 수 있으며,[218] 잠재적으로 사회적 불안, 이상한 사고 패턴,[219] 그리고 StPD에 나타나는 둔마된 정동의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220][219][221] 사회적 상황에서의 어려움은 결국 개인이 대부분의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물러나게 하여 비사회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222] 분열형 증상을 보이는 아이들은 보통 내적 환상에 더 탐닉하고,[223] 더 불안하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며, 비판에 더 민감하다.[224] StPD가 가장 심한 사람들은 보통 아동기 외상과 그들의 상태에 대한 유전적 근거를 함께 가지고 있다.[225][226]
5. 치료 및 관리
분열형 인격장애는 임상 현장에서 주된 치료 대상으로 드물게 나타나지만, 불안장애나 우울장애 등 다른 정신 질환과 함께 진단되는 경우가 흔하다.[291] 약물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 할로페리돌 등의 조현병치료제가 쓰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정신과의 폴 마르코비츠(Paul Markovitz)는 환자를 2가지 케이스로 분류했는데, 환자가 인식의 이상 등 거의 조현병에 가까운 증세를 보이는 경우 (또한 이것이 오랜 기간 지속되었으며 신경이완제가 효과적이지 않을 경우) 항정신병제를, 환자가 자신의 신념이나 행동에 강박적인 모습을 보이는 경우 SSRI를 쓰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하였다.[291]
전체 인구의 3%가 분열형 장애의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가 있으며, 이에 따르면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조금 더 흔하다.[292] 조현병과의 유전적, 생리학적 관계가 있다고 예상되어 조현 스펙트럼(schizophrenia spectrum)에 포함되며, 실제로 조현병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분열형 인격장애(StPD)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은 일반적으로 항정신병 약물이며,[258][259][260] StPD 치료제로 유망한 항정신병 약물에는 올란자핀,[262] 리스페리돈,[263][264] 할로페리돌,[265] 및 티오틱센이 있다.[266] 항우울제인 플루옥세틴도 도움이 될 수 있다.[269][267] 그러나 분열형 인구 집단에서 신경이완제의 사용은 매우 의심스럽다.[261]
긍정적, 부정적, 우울 증상은 항정신병 약물인 올란자핀 사용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69] 강박 장애(OCD)와 StPD가 공존하는 환자들은 올란자핀 사용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항우울제인 클로미프라민 사용에서는 더 나쁜 결과를 보였다.[264] 항우울제는 StPD 자체 또는 공존하는 불안 및 우울증 치료를 위해 처방되기도 한다.[261][264] 그러나 항우울제의 효능에는 모호함이 있는데, 많은 연구에서 StPD와 강박 장애 또는 경계성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들만 테스트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StPD와 관련된 불쾌감 및 무쾌감증 치료에 거의 효능을 보이지 않았다.[8]
분열형 인격 장애 및 기타 약화된 정신병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단기적으로 신경이완제에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추적 관찰 결과 항정신병 약물에 노출되지 않은 분열형 및 심지어 조현병 환자에 비해 일상 기능에 상당한 손상이 나타났다.[268]
이 두 가지 약물은 StPD에 가장 자주 처방되는 약물이지만, 사용 및 효능은 모든 경우에 대해 다르게 평가해야 한다.[269] 자극제의 사용도 일부 효능을 보였으며, 특히 인지 및 주의력 문제가 악화된 환자에게서 그러했다. 동시 정신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자극제가 치료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 더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8] 효과적일 수 있는 다른 약물로는 페르골라이드,[270] 구안파신,[271][272][273][274] 및 디히드렉시딘이 있다.[275][276][277]
시어도어 밀론에 따르면, 분열형 인격장애는 식별하기는 가장 쉽지만, 정신 요법으로 치료하기는 가장 어려운 장애 중 하나이다.[236] 인지 재활 치료,[272][278][279] 메타인지 치료, 지지적 정신 요법,[280] 사회 기술 훈련[281] 및 인지 행동 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282][283]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 증가는 분열형 인격장애 증상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84]
지지는 특히 주된 피해 망상 증상을 보이는 분열형 환자에게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은 매우 구조화된 집단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285] 분열형 인격장애 환자들은 보통 스스로를 단지 괴짜이거나 비순응적인 사람으로 생각한다. 그들이 자신의 사회적 비순응을 문제로 여기는 정도는 정신과에서 그것이 문제로 여겨지는 정도와 다르다. 분열형 인격장애 환자들과 라포를 형성하기는 어려운데, 친밀감과 친숙함이 증가할수록 그들의 불안과 불편함이 종종 증가하기 때문이다.[286] 분열형 인격장애에 대한 치료는 응급 상황이나 고유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유연해야 한다.[280]
5. 1. 약물 치료
분열형 인격장애(StPD)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은 일반적으로 항정신병 약물이며,[258][259][260] StPD 치료제로 유망한 항정신병 약물에는 올란자핀,[262] 리스페리돈,[263][264] 할로페리돌,[265] 및 티오틱센이 있다.[266] 항우울제인 플루옥세틴도 도움이 될 수 있다.[269][267] 그러나 분열형 인구 집단에서 신경이완제의 사용은 매우 의심스럽다.[261]긍정적, 부정적, 우울 증상은 항정신병 약물인 올란자핀 사용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69] 강박 장애(OCD)와 StPD가 공존하는 환자들은 올란자핀 사용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항우울제인 클로미프라민 사용에서는 더 나쁜 결과를 보였다.[264] 항우울제는 StPD 자체 또는 공존하는 불안 및 우울증 치료를 위해 처방되기도 한다.[261][264] 그러나 항우울제의 효능에는 모호함이 있는데, 많은 연구에서 StPD와 강박 장애 또는 경계성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들만 테스트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StPD와 관련된 불쾌감 및 무쾌감증 치료에 거의 효능을 보이지 않았다.[8]
분열형 인격 장애 및 기타 약화된 정신병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단기적으로 신경이완제에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추적 관찰 결과 항정신병 약물에 노출되지 않은 분열형 및 심지어 조현병 환자에 비해 일상 기능에 상당한 손상이 나타났다.[268]
이 두 가지 약물은 StPD에 가장 자주 처방되는 약물이지만, 사용 및 효능은 모든 경우에 대해 다르게 평가해야 한다.[269] 자극제의 사용도 일부 효능을 보였으며, 특히 인지 및 주의력 문제가 악화된 환자에게서 그러했다. 동시 정신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자극제가 치료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 더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8] 효과적일 수 있는 다른 약물로는 페르골라이드,[270] 구안파신,[271][272][273][274] 및 디히드렉시딘이 있다.[275][276][277]
5. 2. 심리 치료
시어도어 밀론에 따르면, 분열형 인격장애는 식별하기는 가장 쉽지만, 정신 요법으로 치료하기는 가장 어려운 장애 중 하나이다.[236] 인지 재활 치료,[272][278][279] 메타인지 치료, 지지적 정신 요법,[280] 사회 기술 훈련[281] 및 인지 행동 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282][283]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 증가는 분열형 인격장애 증상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84]지지는 특히 주된 피해 망상 증상을 보이는 분열형 환자에게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은 매우 구조화된 집단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285] 분열형 인격장애 환자들은 보통 스스로를 단지 괴짜이거나 비순응적인 사람으로 생각한다. 그들이 자신의 사회적 비순응을 문제로 여기는 정도는 정신과에서 그것이 문제로 여겨지는 정도와 다르다. 분열형 인격장애 환자들과 라포를 형성하기는 어려운데, 친밀감과 친숙함이 증가할수록 그들의 불안과 불편함이 종종 증가하기 때문이다.[286] 분열형 인격장애에 대한 치료는 응급 상황이나 고유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유연해야 한다.[280]
6. 역학
분열형 인격장애는 전체 인구의 3%가 분열형 장애의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가 있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조금 더 흔하다.[292] 지역 사회 연구에서 보고된 분열형 인격 장애 유병률은 노르웨이 표본에서 1.37%에서 미국 표본에서 4.6%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87] 미국의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평생 유병률은 3.9%이며, 남성(4.2%)이 여성(3.7%)보다 다소 높았다.[10] 임상 집단에서는 드물 수 있으며, 최대 1.9%의 유병률이 보고되었다.[87] 일반 인구의 최대 5.2%에서 유병률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88] 2008년 뉴욕 연구에 따르면 다른 A군 인격 장애와 함께, 드롭인 센터에 나타나는 노숙자에게도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89] 분열형 장애는 러시아 및 기타 구소련 국가에서 과잉 진단될 수 있다.[90]
7. 예후
분열형 인격장애 증상은 보통 어린 시절부터 나타나며,[91]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교적 일관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92][93] 그러나 증상의 심각성과 안정성은 크게 변동할 수 있다.[94][95] DSM은 분열형 인격장애를 관계 망상, 기이하거나 마술적인 믿음, 사회 불안, 친한 친구가 없음, 기이하거나 괴상한 행동, 기이한 언어, 특이한 지각, 의심, 분열-강박 행동[96] 및 정동 둔마의 9가지 주요 증상으로 특징짓는다.[97]
분열형 인격장애가 있는 남성과 여성의 증상에는 성별 차이가 있을 수 있다.[98] 이 장애가 있는 여성은 덜 심각한 인지 결손, 더 심각한 사회 불안 및 마술적 사고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99][100][101] 분열형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고등학교만 졸업하고 실업 상태이며,[102] 상당한 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103] 편집증과 비정상적인 경험은 변할 가능성이 가장 낮은 두 가지 특징이다.[95]
분열형 인격장애가 없는 사람에 비해, 이 장애가 있는 청소년은 인터넷 사교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직접 사교에는 더 적은 시간을 보낸다.[104] 강박 장애 (OCD) 행동 치료 및 약물 치료에 저항하는 사람들은 분열형 장애가 공존할 수 있다.[96]
8.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Relationship between Dissociative Experiences and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Mediating Role of Inferential Confusion
2021-07
[2]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disguised as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2021-07-20
[3]
논문
Why dissociation and schizotypy overlap: the joint influence of fantasy proneness, cognitive failures, and childhood trauma
https://pubmed.ncbi.[...]
2023-03-05
[4]
논문
Relationship between Dissociative Experiences and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Mediating Role of Inferential Confusion
2021-07
[5]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disguised as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2021-07-20
[6]
논문
Why dissociation and schizotypy overlap: the joint influence of fantasy proneness, cognitive failures, and childhood trauma
https://pubmed.ncbi.[...]
2023-03-05
[7]
웹사이트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06-23
[8]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current review
2014-07
[9]
서적
Psychology
Worth Publishers
2010
[10]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disability, and comorbidity of DSM-IV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results from the wave 2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11]
논문
The Network Structure of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2018-10
[12]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brief revised (updated): An update of norms, factor structure, and item content in a large non-clinical young adult sample
2016-04
[13]
논문
Relationship of abstract thinking to mentalization in schizophrenia
2021
[14]
논문
Spirituality, dimensional autism, and schizotypal traits: The search for meaning
2019-03-08
[15]
논문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domains and traits from borderline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s in a Brazilian community sample
2020-10-19
[16]
논문
Schizotypy and Religiosity: The Magic of Prayer
https://brill.com/vi[...]
2015-03-04
[17]
논문
Differential Relationships between Experiential and Interpretive Dimensions of Mysticism and Schizotypal Magical Ideation in a University Sample
http://journals.sage[...]
2009
[18]
논문
Comparing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i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Pati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with a Normal Group
2017-04
[19]
논문
Clinical, cognitive,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a sample of neuroleptic-naive person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5-10
[20]
간행물
Wiley
2020-09-18
[21]
논문
Some suggestions for the DSM-5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construct
2012-05
[22]
논문
Comparison of self-report and clinician-rated schizotypal trait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d community controls
2019-07
[23]
논문
Pathogenic beliefs among pati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20-05
[24]
논문
The Self in the Spectrum: A Meta-analysis of the Evidence Linking Basic Self-Disorders and Schizophrenia
2021-07
[25]
논문
The Role of Metaperception in Personality Disorders: Do People with Personality Problems Know How Others Experience Their Personality?
2015-08
[26]
논문
Facial emotion recognition and facial affect display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1-09
[27]
논문
Empathy, schizotypy, and visuospatial transformations
2010-09
[28]
논문
Prosodic abnormalitie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2-12
[29]
논문
Emotion processing in persons at risk for schizophrenia
2008-09
[30]
논문
Interactive decision-making in people with schizotypal traits: a game theory approach
2011-01
[31]
논문
Experience of pleasure and emotional expression in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features
2012-05-16
[32]
논문
Self-reported pleasure experience and motivation in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s proneness
https://pubmed.ncbi.[...]
2011-09
[33]
논문
Affective traits in schizophrenia and schizotypy
2008-09
[34]
논문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like behavioural manifestations: a two-year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of college students
2013-11
[35]
논문
Developmental instability in social anhedonia: an examination of minor physical anomali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2010-05
[36]
논문
Productivity of the performance of visual perceptual tasks and symptom severity in patients with schizotypal disorder
2021
[37]
논문
Elevated social Internet use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ts
2007-08
[38]
논문
Measuring pathological traits of the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through the HiTOP model
2021-12
[39]
간행물
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Disorder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https://onlinelibrar[...]
Wiley
2022-10-29
[40]
서적
Psychosis, Trauma and Dissociation: Evolving Perspectives on Severe Psychopathology
https://onlinelibrar[...]
Wiley
2018-11-19
[41]
논문
Identity Disturbance, Feelings of Emptiness, and the Boundaries of the Schizophrenia Spectrum
2019-01
[42]
논문
Impaired smooth pursuit eye movement: vulnerability marker for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in a normal volunteer population
1984-12
[43]
논문
Frontal-striatal-thalamic mediodorsal nucleus dysfunction in schizophrenia-spectrum patients during sensorimotor gating
2008-09
[44]
논문
Eye tracking impairment in clinically identified pati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990-06
[45]
논문
Eye movement impairment and schizotypal psychopathology
1994-08
[46]
논문
Sensory gating deficits assessed by the P50 event-related potential in subjec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0-01
[47]
논문
The silent side of the spectrum: schizotypy and the schizotaxic self
2011-09
[48]
논문
Symptoms, subtype, and suicidalit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1997-02
[49]
논문
Generalized cognitive impairment in male adolesc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3-01
[50]
논문
Sensory gating disturbances in the spectrum: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d schizophrenia
2015-02
[51]
논문
Illusory superiority and schizotypal personality: explaining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objective psychopathology
2014-10
[52]
논문
Strange-face-in-the-mirror illusion and schizotypy during adolescence
2015-03
[53]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influence idiosyncratic initiation of saccadic face exploration
2009-09
[54]
논문
Neurophysiological substrates of configural face perception in schizotypy
2020-02
[55]
논문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emotional meaning in context in relation to facets of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A dimensional study
2016-03
[56]
논문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importance of working memory
2005-10
[57]
논문
Neurophysiological evidence of impaired self-monitoring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d its reversal by dopaminergic antagonism
2016-01-01
[58]
논문
Abnormal pitch mismatch negativity in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9-05
[59]
논문
Schizotypal traits and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The role of processing speed
2020-09
[60]
논문
Factors in sensory processing of prosody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 fMRI experiment
2010-08
[61]
논문
Olfactory threshold selectively predicts positive psychometric schizotypy
2019-07
[62]
논문
EEG synchronization to modulated auditory tones in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3-12
[63]
논문
Semantic dysfunction in women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2-10
[64]
논문
Context processing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evidence of specificity of impairment to the schizophrenia spectrum
2008-05
[65]
논문
An event-related brain potential study of schizotypal personality and associative semantic processing
2010-02
[66]
논문
Deficient visual sensitivity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1-04
[67]
논문
Selectively reduced contrast sensitivity in high schizotypy
2020-01
[68]
논문
Spatiotemporal processing of somatosensory stimuli in schizotypy
2016-12
[69]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sensory Temporal Processing and Schizotypal Traits
https://osf.io/79hdz[...]
2021-02
[70]
논문
Abnormalities of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in stud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1-10
[71]
논문
Processing sentence context in women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 ERP study
2004-05
[72]
논문
Auditory processing abnormalitie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 fMRI experiment using tones of deviant pitch and duration
2008-08
[73]
논문
Attenuated Resting-State Functional Anticorrelation between Attention and Executive Control Network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21-01
[74]
논문
Cognitive function and symptoms in adolesc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6-07
[75]
논문
Postural Sway Abnormalitie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9-04
[76]
논문
Lateralized P3 deficit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http://nrs.harvard.e[...]
2000-10
[77]
논문
Cerebellar-dependent eyeblink conditioning deficits in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2012-06
[78]
논문
Visual perception and working memory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0-05
[79]
논문
Increased temporal variability of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in schizophrenia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0-12
[80]
논문
Dorso- and ventro-lateral prefrontal volume and spatial working memory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1-04
[81]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and vulnerability to involuntary autobiographical memories
https://centaur.read[...]
2012-09
[82]
논문
Schizotypal perceptual aberrations of time: correlation between score, behavior and brain activity
2011-01
[83]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Current Review
2014-07-16
[84]
논문
Justification for Separating Schizotypal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
https://academic.oup[...]
2023-04-10
[85]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psycnet.apa.[...]
2023-04-10
[86]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Review of Its Current Status
http://guilfordjourn[...]
2011-01-31
[87]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88]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disability, and comorbidity of DSM-IV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results from the wave 2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09-04-16
[89]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in homeless drop-in center clients
http://www.ncsinc.or[...]
2008-12
[90]
논문
О трудностях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между первичным деперсонализационно-дереализационным расстройством и шизотипическим расстройством
2022
[91]
논문
The Melbourne assessment of Schizotypy in kids: a useful measure of childhoo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5-01-06
[92]
논문
Short-term diagnostic stability of schizotypal, borderline, avoidant, and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s
2002-12
[93]
간행물
2019-01-25
[94]
논문
Two-year stability and change of schizotypal, borderline, avoidant, and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s
2004-10
[95]
논문
Two-year prevalence and stability of individual DSM-IV criteria for schizotypal, borderline, avoidant, and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s: toward a hybrid model of axis II disorders
2005-05
[96]
논문
Coexistent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Poor Prognostic Indicator
http://archpsyc.jama[...]
1986-03-01
[97]
논문
A diagnostic classification version of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using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s
2019-12-05
[98]
논문
An MRI study of superior temporal gyrus volume in women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3-12
[99]
논문
A comparative profile analysis of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men and women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http://nrs.harvard.e[...]
2005-04
[100]
논문
Dichotic listening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evidence for gender and laterality effects
http://nrs.harvard.e[...]
2009-12
[101]
논문
Effect of age and gender on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in the normal population
2009-10
[102]
논문
Functional outcomes, functional capacity, and cognitive impairment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3-03
[103]
논문
Functional impairment in patients with schizotypal, borderline, avoidant, or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2002-02
[104]
논문
Elevated social Internet use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ts
2007
[105]
논문
Developing psychosis and its risk states through the lens of schizotypy
2015-03
[106]
논문
Psychosis and Schizophrenia-Spectrum Personality Disorders Require Early Detection on Different Symptom Dimensions
2019
[107]
논문
A brief questionnaire measure of multidimensional schizotypy predicts interview-rated symptoms and impairment
2020-08-10
[108]
논문
DSM-III-R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in offspring of schizophrenic disorder, affective disorder, and normal control parents
1989
[109]
논문
A multivariate perspective on schizotypy and familial association with schizophrenia: a review
2011-11
[110]
논문
Schizotypy and personality profiles of Cluster A in a group of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ir siblings
2013-10
[111]
논문
BDNF val66met genotype and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interact to influence probabilistic association learning
2014-11
[112]
논문
Endophenotypes in the personality disorders
2005
[113]
논문
Anhedonia as a phenotype for the Val158Met COMT polymorphism in relative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2008-11
[114]
논문
Catechol-O-methyltransferase Val158Met genotype in healthy and personality disorder individuals: Preliminary results from an examination of cognitive tests hypothetically differentially sensitive to dopamine functions
2007-12
[115]
논문
Effect of COMT val158met genotype on cognition and personality
2008-09
[116]
논문
Interro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izotypy, the Catechol-O-Methyltransferase (COMT) Val158Met Polymorphism, and Neuronal Oscillatory Activity
2019-07
[117]
논문
Effects of the catechol-O-methyltransferase Val158Met polymorphism on executive function: a meta-analysis of the Wisconsin Card Sort Test in schizophrenia and healthy controls
2007-05
[118]
논문
Personality in relation to genetic liability for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the COMT Val 108/158 Met polymorphism
2008-03
[119]
논문
Improvement of prepulse inhibition and executive function by the COMT inhibitor tolcapone depends on COMT Val158Met polymorphism
2008-12
[120]
논문
Prefrontal abnormalities, executive dysfunction and symptoms severity are modulated by COMT Val158Met polymorphism in first episode psychosis
2022-04-01
[121]
논문
A review of neuroimaging studies of young relatives of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a developmental perspective from schizotaxia to schizophrenia
2013-10
[122]
논문
Prepulse inhibition of the startle reflex depends on the catechol O-methyltransferase Val158Met gene polymorphism
2008-11
[123]
논문
The effect of the COMT val(158)met polymorphism on neural correlates of semantic verbal fluency
2009-12
[124]
논문
Catechol O-methyltransferase Val158Met polymorphism in schizophrenia: differential effects of Val and Met alleles on cognitive stability and flexibility
2004-02
[125]
논문
Does COMT val158met polymorphism influence P50 sensory gating, eye tracking or saccadic inhibition dysfunctions in schizophrenia?
2016-12
[126]
논문
Outgroup emotion processing in the vACC is modulated by childhood trauma and CACNA1C risk variant
2018-03
[127]
논문
Interactive effects of early life stress and CACNA1C genotype on cortisol awakening response
http://eprints.linco[...]
2018-07
[128]
학위논문
Investiga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Acute Psychosocial Stress Reactivity and Evaluation of Wearable Devices for Heart Rate Variability Measurement
https://eprints.linc[...]
University of Lincoln
2021
[129]
논문
Minor physical anomalies, dermatoglyphic asymmetries, and cortisol levels in adolesc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999-04
[130]
논문
The effects of the CACNA1C rs1006737 A/G on affective startle modulation in healthy males
2015-06
[131]
논문
CACNA1C risk variant affects reward responsiveness in healthy individuals
2014-10
[132]
논문
The bipolar disorder risk allele at CACNA1C also confers risk of recurrent major depression and of schizophrenia
2010-10
[133]
논문
CACNA1C as a risk factor for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d schizotypy in healthy individuals
2013-03
[134]
논문
Variation in psychosis gene ZNF804A is associated with a refined schizotypy phenotype but not neurocognitive performance in a large young male population
2013-11
[135]
논문
A schizophrenia risk gene, ZNF804A, influences neuroanatomical and neurocognitive phenotypes
2010-10
[136]
논문
Impact on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 of a genome-wide supported psychosis variant of the ZNF804A gene
2011-05
[137]
논문
Analysis of schizophrenia-related genes and electrophysiological measures reveals ZNF804A association with amplitude of P300b elicited by novel sounds
2014-01
[138]
논문
Influence of ZNF804a on brain structure volumes and symptom severity in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2012-09
[139]
논문
NOTCH4 and the frontal lobe in schizophrenia
2003-04
[140]
논문
A review of endophenotypes in schizophrenia and autism: The next phase for understanding genetic etiologies
2017-09
[141]
논문
A common variant of the NOTCH4 gene modulates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occipital cortex and its relationship with schizotypal traits
2020-07
[142]
논문
Current Knowledge on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in Personality Disorders: an Update
2018-08
[143]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diagnosis, causes, and treatments
2020
[144]
논문
Genetic and Neuroimaging Features of Personality Disorders: State of the Art
2016-06
[145]
논문
Dimensional Traits of Schizotypy Associated With Glycine Receptor GLRA1 Polymorphism: An Exploratory Candidate-Gene Association Study
2018-06
[146]
논문
The p250GAP gene is associated with risk for schizophrenia and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2012-04-18
[147]
논문
Genetic Consideration of Schizotypal Traits: A Review
2016
[148]
논문
Treating working memory deficits in schizophrenia: a review of the neurobiology
2014-03
[149]
논문
Childhood and current autistic features in adolesc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8-09
[150]
논문
Prodromal symptoms in adolescents with 22q11.2 deletion syndrome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1-06
[151]
논문
Case Report: The Association Between Chromosomal Anomalies and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The Case of Two Siblings With 16p11.2 Deletion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21
[152]
논문
Poor nutrition at age 3 and schizotypal personality at age 23: the mediating role of age 11 cognitive functioning
2012-08
[153]
논문
Dopamine synthesis capacity before onset of psychosis: a prospective [18F]-DOPA PET imaging study
2011-12
[154]
논문
Correl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with amphetamine-induced dopamine release in striatal and extrastriatal brain regions
2011-04
[155]
논문
Targeting the dopamine D1 receptor or its downstream signalling by inhibiting phosphodiesterase-1 improves cognitive performance
2018-07
[156]
논문
Dopamine regulation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d psychosis
2005-12-01
[157]
논문
Targeting the dopamine D1 receptor in schizophrenia: insights for cognitive dysfunction
2004-06
[158]
논문
Ventral Striatal Dysfunction and Symptom Expression in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and Early Psychosis
2018-01
[159]
논문
Multi-echo fMRI, resting-state connectivity, and high psychometric schizotypy
2019-01-01
[160]
논문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Disorders: Perspectives From the Spectrum
https://ajp.psychiat[...]
2004-03-01
[161]
논문
Schizotypal Traits are Linked to Dopamine-Induced Striato-Cortical Decoupling: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2019-04
[162]
논문
Presynaptic dopamine in schizophrenia
2011-04
[163]
논문
Neuroimaging finding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2013-06
[164]
논문
Dopamine synthesis capacity before onset of psychosis: a prospective [18F]-DOPA PET imaging study
2011-12
[165]
논문
Presynaptic striatal dopamine dysfunction in people at ultra-high risk for psychosis: findings in a second cohort
2013-07
[166]
논문
Shape of caudate nucleus and its cognitive correlates in neuroleptic-naive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4-01
[167]
논문
Characterizing the shape of anatomical structures with Poisson's equation
2006-10
[168]
간행물
Global Medical Shape Analysis Using the Laplace-Beltrami Spectrum
2007
[169]
논문
Reduction of caudate nucleus volumes in neuroleptic-naïve female subjec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6-07
[170]
논문
Shape abnormalities of caudate nucleu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9-05
[171]
논문
MRI study of caudate nucleus volume and its cognitive correlates in neuroleptic-naive pati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2-07
[172]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d MRI abnormalities of temporal lobe gray matter
http://nrs.harvard.e[...]
1999-06
[173]
논문
Reduced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bilateral precuneus and contralateral parahippocampu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7-02
[174]
논문
Large CSF volume not attributable to ventricular volume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0-01
[175]
논문
Globally and locally reduced MRI gray matter volumes in neuroleptic-naive men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ssociation with negative symptoms
2013-04
[176]
논문
Smaller left Heschl's gyrus volume in pati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2-09
[177]
논문
A MRI study of fusiform gyru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http://nrs.harvard.e[...]
2003-11
[178]
논문
White matter abnormalities in schizophrenia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5-01
[179]
논문
The brain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review of structural MRI and CT findings
2002
[180]
논문
Smaller superior temporal gyrus volume specificity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9-07
[181]
논문
Reduced Cortical Thickness in Schizophrenia and Schizotypal Disorder
2020-02
[182]
논문
Biological Advances in Personality Disorders
https://focus.psychi[...]
2013-04
[183]
논문
Anterior limb of the internal capsule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fiber-tract counting, volume, and anisotropy
2012-11
[184]
논문
Volume reduction of the right anterior limb of the internal capsule in patients with schizotypal disorder
2004-04
[185]
논문
A review of structural MRI and diffusion tensor imaging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2-02
[186]
논문
Cingulate and temporal lobe fractional anisotropy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1-04
[187]
논문
The uncinate fasciculus and extraversion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diffusion tensor imaging study
2007-02
[188]
논문
Neural correlates of reality monitoring during adolescence
https://orbi.uliege.[...]
2011-04
[189]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Fiber Connectivity Profile of the Cerebral Cortex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Pilot Study
2016
[190]
논문
Increased brain gyrification in the schizophrenia spectrum
2020-01
[191]
논문
Cortical gray and white matter volume in unmedicated schizotypal and schizophrenia patients
2008-04
[192]
논문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Val66Met genotype modulates amygdala habituation
2017-05
[193]
논문
Dissociation of Brain Activation in Autism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During Social Judgments
2017-10
[194]
논문
Larger putamen size in antipsychotic-naïve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3-01
[195]
논문
Pituitary volume in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2013-05
[196]
논문
Neurobiological measures of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defining an inhibitory endophenotype?
2002-05
[197]
논문
Deficient attentional modulation of the startle response in pati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3-09
[198]
논문
Modulation of the startle response and startle laterality in relativ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nd in subjec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evidence of inhibitory deficits
2000-10
[199]
논문
Impaired startle prepulse inhibition and habituation in pati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993-12
[200]
논문
CSF homovanillic acid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993-01
[201]
논문
MRI study of cavum septi pellucidi in schizophrenia, affective disorder,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998-04
[202]
논문
Early cannabis use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from adolescence to middle adulthood
2012-05
[203]
논문
Association between cannabis use, psychosis,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finding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13-12
[204]
논문
Association of Substance Use Disorders With Conversion From Schizotypal Disorder to Schizophrenia
2018-07
[205]
논문
Cannabis users differ from non-users on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chizotypy
2011-03
[206]
논문
Early life factors of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2021-12
[207]
논문
Duration of early maternal separation and prediction of schizotypal symptoms from early adolescence to midlife
2008-08
[208]
논문
Psychological Trauma and Schizotypal Symptoms
2003
[209]
논문
Longitudinal study of stressful life events and daily stressors among adolescents at high risk for psychotic disorders
2011-03
[210]
논문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hood negl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schizotypal and autistic personality traits and depression in a non-clinical sample
2017-10
[211]
논문
Duration of early maternal separation and prediction of schizotypal symptoms from early adolescence to midlife
2008-08
[212]
논문
Psychological trauma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8-08
[213]
논문
Childhood adversity, mental disorder comorbidity, and suicidal behavior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0-11
[214]
논문
Heritability and longitudinal stability of schizotypal traits during adolescence
2011-07
[215]
논문
Developmental Aspects of Schizotypy and Suspiciousness: a Review
2018-03-01
[216]
논문
Adult schizotyp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renatal influenza in a Finnish birth cohort
2002-03
[217]
웹사이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2-02-21
[218]
논문
Does childhood trauma predict schizotypal traits? A path modelling approach in a cohort of help-seeking subjects
2022-08
[219]
논문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hild abus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1-07-01
[220]
논문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the developmental course of schizotypal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2008
[221]
논문
Severe childhood trauma and clinical and neurocognitive feature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9-07
[222]
논문
Attentional functioning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997-05
[223]
논문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Schizotypal, Schizoid and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2010-12
[224]
논문
Childhood behavior precursors of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997
[225]
논문
The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for Children (SPQ-C): Factor Structure, Child Abuse, and Family History of Schizotypy
2021-03
[226]
논문
Psychological trauma and schizotypal symptoms
2003
[227]
웹사이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STPD) - Psychiatric Disorders
https://www.merckman[...]
2023-03-11
[228]
논문
The role of schizotypy in the study of the etiology of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2015-03
[229]
논문
The SPQ: a scale for the assessment of schizotypal personality based on DSM-III-R criteria
1991
[230]
논문
Development and public release of a computerized adaptive (CAT) version of the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2018-05
[231]
논문
Brief assessment of schizotypy: Developing short forms of the Wisconsin Schizotypy Scales
2011
[232]
Webarchive
Schizotypal Disorder
http://apps.who.int/[...]
2015-11-02
[233]
논문
Compar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Wisconsin Schizotypy Scales and the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http://libres.uncg.e[...]
2014-10
[234]
논문
Protocol for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schiZotypy Autism Questionnaire (ZAQ) in adults: a new screening tool to discriminate autism spectrum disorder from schizotypal disorder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3-03-28
[235]
논문
Self-Disorders in Asperger Syndrome Compared to Schizotypal Disorder: A Clinical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5-03
[236]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in modern life
Wiley
[237]
웹사이트
Eccentric/Schizotypal Personality
http://www.millonper[...]
2019-04-05
[238]
논문
The DSM-III Distinction between Schizoid and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s
SAGE Publications
[239]
서적
Psychoanalytic Diagnosis: Understanding Personality Structure in the Clinical Process
The Guilford Press
[240]
서적
Psychodynamic Diagnostic Manual
The Guilford Press
[241]
논문
Predictors of remissio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in adolescents with brief psychotic disorder or psychotic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considered at very high risk for schizophrenia
2008-10
[242]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disability, and comorbidity of DSM-IV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results from the wave 2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09
[243]
서적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pathology
Kluwer Academic
[244]
논문
Comorbidit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Clinical Response and Treatment Resistance to Pharmacotherapy in a 3-Year Follow-Up Naturalistic Study
2019
[245]
서적
Essential psychia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6]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in clinical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samples: a brief overview
2021-10
[247]
논문
When 'entities' are as intrusive as obsessions: A case study of the co-occurrence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diagnoses
https://onlinelibrar[...]
2008
[248]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in 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2007-12
[249]
서적
Psychiatry
Wiley-Blackwell
[250]
논문
Schizophrenia: etiology and course
Annual Reviews
[251]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neurodevelopmental and psychosocial trajectories
[252]
논문
Neuropsychological profile in pati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or schizophrenia
SAGE Publications
2004-04
[253]
논문
Cingulate gyrus volume and metabolism in the schizophrenia spectrum
2004-12
[254]
논문
DSM-IV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taxometric analysis among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ubstance use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2014
[255]
논문
Why dissociation and schizotypy overlap: the joint influence of fantasy proneness, cognitive failures, and childhood trauma
https://pubmed.ncbi.[...]
2007-10
[256]
간행물
Childhood Trauma, the Occult,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Relations on a Sample of Psychiatric Outpatients
https://www.research[...]
[257]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psycnet.apa.[...]
2023-03-12
[258]
논문
A Dual Therapeutic Setting Model Experience for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in an Inpatient Unit
https://www.psychiat[...]
2020-09
[259]
논문
Auditory steady state response in the schizophrenia, first-degree relatives,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2-04
[260]
논문
Antipsychotic side-effect - potential risk of patients rejecting their treatments
https://pubmed.ncbi.[...]
2010-03
[261]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disorders :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Guilford Press
[262]
논문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olanzapine in the treatment of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4-11
[263]
논문
The effects of risperidone on the cognitive performance of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9-08
[264]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evidence from a systematic review
2018-10
[265]
논문
Antipsychotic treatment of schizotypy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2017-04
[266]
간행물
Treatment of Personality Disorders
https://psychiatry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2022-10-27
[267]
논문
Fluoxetine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s
1991-08
[268]
논문
A 20-Year multi-followup longitudinal study assessing whether antipsychotic medications contribute to work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2017-10
[269]
논문
Review of pharmacologic treatment in 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2016-03
[270]
논문
Pergolide treatment of cognitive deficits associated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continued evidence of the importance of the dopamine system in the schizophrenia spectrum
2010-05
[271]
논문
Remediation and Cognitive Enhancer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4-12-01
[272]
논문
Guanfacine Augmentation of a Combined Intervention of Computerized Cognitive Remediation Therapy and Social Skills Training for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9-04
[273]
논문
The effects of guanfacine on context processing abnormalities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7-05
[274]
논문
Guanfacine for the treatment of cognitive disorders: a century of discoveries at Yale
2012-03
[275]
논문
Effects of the D1 dopamine receptor agonist dihydrexidine (DAR-0100A) on working memory in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5-01
[276]
논문
Novel Dopamine Therapeutics for Cognitive Deficits in Schizophrenia
2017-01
[277]
논문
T38. Dopamine Enhancement of Verbal Learning in the Schizophrenia Spectrum
2019
[278]
논문
Cognitive Remediation and Social Skills Training for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Greater Gains With Guanfacine?
2019-04
[279]
논문
SA25. Guanfacine Augmentation of Cognitive Remediation Therapy in the Schizophrenia Spectrum: Prospects for Improving Cognitive Performance and Functional Skills
2017-03-01
[280]
간행물
Paranoid, Schizotypal, and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s
https://psychiatryon[...]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22-10-30
[281]
논문
Guanfacine Augmentation of a Combined Intervention of Computerized Cognitive Remediation Therapy and Social Skills Training for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19-01-18
[282]
논문
Face Your Fears: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VR-CBT) versus standard CBT for paranoid ideation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2022-08
[283]
논문
The Treatment of Adolesc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d Related Conditions: A Practice-Oriented Review of the Literature
http://doi.wiley.com[...]
2013
[284]
논문
Effects of environmental enrichment at ages 3-5 years on schizotypal personality and antisocial behavior at ages 17 and 23 years
2003-09
[285]
서적
Th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textbook of personality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
[286]
논문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287]
서적
"『パーソナリティ障害』 岡田尊司"
[288]
서적
精神疾患診断のエッセンス―DSM-5の上手な使い方
金剛出版
2014-03
[289]
서적
ICD‐10정신및행동의장애:임상기술과진단가이드라인
의학서원
2005
[290]
웹인용
서울대학교 임상ㆍ상담 심리학 연구실
http://hosting03.snu[...]
2020-08-03
[291]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Disorders: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The Guilford Press
2001
[292]
간행물
Prevalence, correlates, disability, and comorbidity of DSM-IV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results from the wave 2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